2024.09.19 한국일보
사육곰 보호시설이 지어지는 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먼저 ①보호시설에 들어가지 못하는 160마리 곰들의 처우가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다. 2026년 이전까지 노화로 죽거나 웅담용으로 도축되는 수를 고려한다고 해도 최소 100여 마리가 보호시설에 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2022년 발표한 '곰 사육 종식 이행계획'을 보면 농가는 사육 포기 시 보호시설로 가기 전까지 곰을 보호, 관리하거나 2025년 말까지 자율 처분을 하도록 돼 있다. 농가에 조기 도살을 유도하는 것 말고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관계자는 "농가, 시민단체와 소통하면서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보호시설로 들어갈 곰을 어떻게 정할지도 미정이다. 환경부는 무상기증 여부, 개체별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겠다고 했지만 이를 위해 사육곰 민관 협의체가 준비하거나 진행 중인 것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기사 전문 확인하기
2024.09.19 한국일보
사육곰 보호시설이 지어지는 건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먼저 ①보호시설에 들어가지 못하는 160마리 곰들의 처우가 아직도 정해지지 않았다. 2026년 이전까지 노화로 죽거나 웅담용으로 도축되는 수를 고려한다고 해도 최소 100여 마리가 보호시설에 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2022년 발표한 '곰 사육 종식 이행계획'을 보면 농가는 사육 포기 시 보호시설로 가기 전까지 곰을 보호, 관리하거나 2025년 말까지 자율 처분을 하도록 돼 있다. 농가에 조기 도살을 유도하는 것 말고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관계자는 "농가, 시민단체와 소통하면서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보호시설로 들어갈 곰을 어떻게 정할지도 미정이다. 환경부는 무상기증 여부, 개체별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겠다고 했지만 이를 위해 사육곰 민관 협의체가 준비하거나 진행 중인 것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기사 전문 확인하기